라벨이 research인 게시물 표시

nginx install - osx leopard

이미지
좋다는 메일이 떠돌아서 한번 설치해봤다. 간단하게;;; #. nginx install - osx macport sudo port install nginx ... which nginx /opt/local/sbin/nginx daemon 등록 > 필요한 경우 sudo launchctl load -w /Library/LaunchDaemons/org.macports.nginx.plist   nginx -s [ stop | quit | reopen | reload ] nginx (x) -> sudo nginx (o) [emerg]: open() "/opt/local/etc/nginx/nginx.conf" failed (2: No such file or directory) nginx.conf, mime.types 를 만들어준다. 뜨는거 보기 위해 일단 카피! sudo cp /opt/local/etc/nginx/nginx.conf.sample /opt/local/etc/nginx/nginx.conf sudo cp /opt/local/etc/nginx/mime.types.sample /opt/local/etc/nginx/mime.types sudo nginx 홈페이지[ 1 ]도 그렇지만 welcome 페이지 또한 참 허접하다...그렇지만... #. tomcat proxy 헐, 이것도 정말 간단하다. /opt/local/etc/nginx/nginx.conf         #location / {         #    root   share/nginx/html;         #    index  index.html index.htm;         #}         location / {     ...

시맨틱 웹 튜토리얼: RDF 집중 분석 (후기)

지난 10월 31일 (토)에 시맨틱웹 튜토리얼 이 있었습니다. 비도 오고 해서 많이 안 오실줄 알았는데 많이 와주셨고, 정말 열심을 다해 들어주셨습니다. 발표하신 분들도 정말 수고 많이 하셨어요 * 12:00 ~ 13:00 등록 * 12:50 - 13:00 행사 소개 (김학래, SCOT 프로젝트) * 13:00 ~ 14:00 RDF 개념 및 구문 소개  (김동범, 아이네크) * 14:00 - 15:00 마이크로포맷과 RDFa (김보람, 연세대) * 15:00 - 15:30 커피 타임 * 15:30 - 16:30 RDF 어휘 (FOAF, SIOC, SKOS....) (양상원, 누리엔 소프트웨어) * 16:30 - 17:30 SPARQL 질의 언어 (김광섭, NHN) * 17:30 - 18:30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한 추론 (이명진, 연세대학교) 제가 RDF SPQRQL테스트 하실 수 있는 페이지를 알려드린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아래 링크들에서 확인해보세요. 튜토리얼 시간중에 설명드렸던 이런저런 syntax들도 테스트해보시구요. * http://www.sparql.org/query.html * http://lod.openlinksw.com/sparql * http://demo.openlinksw.com/sparql_demo /  >> Query Processor * http://www.rdfabout.com/demo/census/sparql.xpd * http://about.geospecies.org/sparql.xhtml 아래 발표자료도 참고하세요. RDF Tutorial - SPARQL 20091031   다른 분들 발표자료 * RDF 개념 및 구문 소개  (김동범, 아이네크) * RDF 어휘 (FOAF, SIOC, SKOS….)  (양상원, 누리엔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포맷과 RDFa  (김보람, 연세대) * SPARQL 질의 언어  (김광섭, NHN) * 시맨틱...

undefined method `^' for "a":String - Ruby 1.9 ,Rails 2.3.4

동생 부탁 하나 들어주려다가 정말 삽질한다. Ruby 1.9로 바뀌니 여기저기 완전;;; ㅜ.ㅜ   undefined method `^' for "a":String 가 발생되는데 1.9버그 [1] 라네. 패치가 나왔는데, 좀더 찾아보니 아래처럼 해결 [2] 해서 사용해도 되는군.   rake db:sessions:create rake db:migrate   * 주석 해제 config/initalizers/session_store.rb ActionController::Base.session_store = :active_record_store   [1] https://rails.lighthouseapp.com/projects/8994/tickets/3144-undefined-method-for-string-ror-234 [2] http://keriel.tistory.com/10    

`rescue in const_missing', jRails Bug with Ruby 1.9

Ruby 1.9 / Rails 2.3.4 설치한 후, 아래 처럼 jrails plugin을 설치하면 ruby script/plugin install http://ennerchi.googlecode.com/svn/trunk/plugins/jrails   에러! dependencies.rb:105:in `rescue in const_missing': uninitialized constant ActionView::Helpers::JavaScriptElementProxy::ActionView (NameError)   해당 버그가 github에 fix [2] 되어 있긴 한데 아직 gogolecode에는 반영이 안된 듯 jrails.rb를 직접 수정하면 된다. /plugins/jrails/lib/jrails.rb  - JQUERY_VAR = ActionView::Helpers::PrototypeHelper::JQUERY_VAR  + JQUERY_VAR = PrototypeHelper::JQUERY_VAR   [1]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028766/rescue-in-constmissing-error-with-ruby-1-9-1-rails-2-3-2-and-jrails-0-4 [2] http://github.com/cheald/jrails/commit/8cafe41c82617539bc03bf8a4aa1ed31e2bdcaec

Mysql::Error: query: not connected

MySql 5.1 Client가 Rails 2.3에서 작동하지 않고 아래 에러 만들 때   libmySQL.dll 받아 rubyhome/bin폴더에 추가   rake aborted! Mysql::Error: query: not connected: CREATE TABLE `schema_migrations` (`version` varchar(255) NOT NULL) ENGINE=InnoDB (See full trace by running task with --trace)   [1] http://forums.aptana.com/viewtopic.php?f=20&t=7563&p=27407&hilit=libmysql.dll#p27407 [2]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343500/ruby-on-rails-connection-problem [3] libmySQL.dll : http://instantrails.rubyforge.org/svn/trunk/InstantRails-win/InstantRails/mysql/bin/libmySQL.dll

VoCamp Seoul 2009

VoCamp Seoul 2009 가 있었습니다. Vocabulary에 대한 생각들을 나눌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던것 같습니다. 그룹을 만들어 주제를 잡고 Vocabulary를 만들어 열열한 토론도 했습니다. :-) 첫 세션 - 온톨로지의 개념 및 온톨로지 표현 언어: 김동범 온톨로지 개념 및 표현언어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Dongbum Kim 둘째 세션 - RDF 어휘 (SKOS, SIOC, FOAF, 기타): 양상원 Semantic Web Vo Camp Seoul Summer Rdf Vocabularies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sangwon Yang 셋째 세션 - 온톨로지 기반 질의 언어 (SPARQL) : 김광섭 VoCamp Seoul2009 Sparql View more presentations from kwangsub kim 네번째 세션 - TopBraid를 이용한 온톨로지 모델링: 양성권 발표시간이 짧아 튜토리얼을 끝내지 못했네요. 튜토리얼에 사용했던 자료와 온톨로지 파일은 이곳 에서 받으실수있습니다. 그리고, 발표를 준비하면서 모아둔 페이지는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시맨틱웹 세미나-Semantic Web & Data Link 후기

이미지
지난 수요일 시맨틱웹세미나가 있었지요. 최근 시맨틱웹관련 이슈도, 행사도 거의 없던터라 부담 백배에 세미나를 준비했습니다. 모자란 지식에 어떻게 이야기를 만들어 낼지 고민에 고민을 했었지요. 무사히 행사를 마쳤고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발표를 마련해주신 분들께 감사하고, 오셔서 들어주신 분들께도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벌써 후기가 많이 올라왔는데 전 늦은 후기가 되겠네요. 시맨틱웹이라는 큰 주제로 시작된 이번 세미나는 "Semantic Web & Data Link" 라는 소주제로 이야기를 펼쳐냈습니다. 김홍기 교수님께서는 "시맨틱웹과 링크의 진화"라는 주제로 시맨틱웹, 링크가 무엇인지 언급하시고, 그 중 링크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발표자료가 약하다고 걱정하시더니 정말 멋지게 발표를 해주시더군요. :-) 두번째는 제가 "데이터를 웹으로"라는 주제로 웹에서의 데이터가 무엇이고 기존의 링크와 앞으로의 링크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어찌보면 소소한 문제인것 같으면서도 기초가 주제가 아니였나 생각됩니다. 발표를 들으셨던 분들은 제가 백만번 강조한 "라인"을 기억하셨을텐데요. 제 발표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시맨틱웹의 비전인 "Person or Machine can explore the web of data" 이 가능하기 위해선 "RDF, URI, HTTP" 이 필요하다. (아니 이걸가지고 1시간을 발표하다니...^^;;) 제 발표자료를 첨부합니다. 오셨던 분들은 다이나믹한 발표의 기억을;;...퍽@=   다음으로는 오픈마루의 정지웅님께서 "우리곁의 데이터웹" 이란 주제로 이야기해주셨습니다. 데이터웹에서 오픈 소셜, 리믹스웹까지 시맨틱웹으로 가는 길목요소들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해 이야기하셨습니다. 발표 시작 슬라이드 장수를 맞추는 사람에게 상품을 준다고 했었는데 정말 맞추신 분이 계시더군요...

시맨틱웹 세미나

이미지
시맨틱웹 세미나를 소개합니다. 거대 온톨로지가 아닌 데이터간의 링크가 시맨틱웹으로가는 한걸음임을 보여주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링크 : http://www.gimyo.co.kr/semanticweb/ 김홍기 교수 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수 서울대의생명지식공학연구실 서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 겸임교수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정보공학부 겸직교수 IBM developerWorks 컬럼리스트 시맨틱 웹 2.0 컨퍼런스 조직위원장 Korea Web 2.0 그룹 멤버 웹은 링크와 함께 진화하고 있는데, 링크를 구성하는 데이터도 다양해 지고 있다. 웹의 진화를 링크와 데이터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의미적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시맨틱 웹을 초기 등장부터 살펴본다. 더불어 시맨틱 웹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기반으로 버스 시스템을 소개하며 의료 분야에서 시맨틱 웹과 데이터 링크의 사례를 소개한다. 1. 웹 그리고 링크의 진화 2. 웹에서의 데이터 3. 시맨틱 웹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4. 시맨틱 웹 버스 시스템 • RDF 와 온톨로지 • 포크소노미 • SPARQL 5. 응용사례 : 의료분야의 데이터 링크 김광섭 현) NHN 시맨틱웹TF팀 근무 • 블로그 : http://bklab.snu.ac.kr/blog/kwangsub • 시맨틱웹 팀블로그 : http://semantic.tistory.com RDF 를 이용해 Resource(데이터) 를 표현 & 전달하기 위한 스팩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스팩들은 웹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의미적 리소스들을 표현 전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 데이터를 공유하자 • rss, dc, foaf, sioc, scot 2. 웹 안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전초전, 어노테이션 • RDFa(Cadidate Recommendation) 3. 실용사례 - 데이터를 내 품에 • 공유된 데이터의 재사용이 가능한 시나리오 소개 정지웅 현) NC 소...

Mac Leopard에서 Akelos구축 - (1)

이미지
역시나 새로운 걸 할땐 한 삽 푸고 시작해야하나 봅니다. 삽질을 좀 해야... RoR을 모토로 만들었다는 Akelos 를 사용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Akelos는 Ruby on Rails와 비슷한 웹 개발 프레임워크이고 php로 개발되어 있습니다. 동영상 을 보곤 "아! 쉽네. 아! 편하겠다"란 생각이 들었는데 시작부터 만만하지 않더군요. 삽질로 인해 만들어진 산들을 차근차근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설정이 제대로 되고 나면 다시 "아! 쉽네, 아! 편하겠다"란 말이 나오겠지요. :-) # 아파치 세팅 Leopard를 설치하면 /etc/apache2위치에 Apahce가 설치되어 나옵니다. /etc/apche2/bin/httpd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동해도 되지만 시스템 환경설정-공유-웹공유 체크로도 서버를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Document Root는 /etc/apache2/conf/httpd.conf에 나와 있듯이 /Library/WebServer/Documents 입니다. ## 브라우저에서 php파일이 text로 바로 보일 때 처음 Document Root에 php파일을 만들어놓고 브라우저를 통해 보면 text로 보일겁니다. php모듈이 연결되지 않아서 그런건데요. httpd.conf파일에서 주석으로 처리된 부분을 열어주면 됩니다. LoadModule php5_module        libexec/apache2/libphp5.so # Akelos 설치 Akelos 설치는 http://www.akelos.org/download 에서 다운 받거나 svn을 이용해서 최신 파일을 받으면 됩니다. svn co http://svn.akelos.org/trunk/ akelos $ROOT$ = Akelos가 설치된 디렉토리 # Akelos 어플리케이션 생성 akelos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합니다. akelos라는 명령어를 이용해 newApp를 만들 때, Akelos는 설정파일들을 복사합니...

Daum Dev Day 2008후기

이미지
Daum Dev Day 에 다녀왔습니다. 몇일 지났는데 후기 몇자 적어봅니다. 모두들 그 짧은 시간에 어찌나 잘들 만드시던지, 대단하십니다.~ 결과물 : http://dna.daum.net/apis/devday08 우리(나와 성권이 )는 Daum 도서 검색API를 이용해 Apple iPod Touch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뭐 원래 계획은 디앤샵 상품검색을 하려했는데... 왜 못했죠?ㅋㅋ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려면 시나리오 잡고, 구현설계하고, 개발진행하는게 맞겠지만, 우린 Objective-c라는 언어의 문법부터 봐야했죠. @.@ 행사 전날에 학교에 모여 삽질을 시작했습니다. "이건 뭐에 쓰는 신택스냐?ㅋㅋ" "몰라요~" 뭐 그렇게 시간은 가고, 잠은 오고, 전날 먹은 술에 몸은 힘들고ㅋㅋ   다음날, 오랜만에 라꾸라꾸에서 잤더니, 온몸이 뻐근하더군요. 나가서 아침먹고, 사우나가서 샤워하고, 양재로 고고싱~ 그렇게 행사는 시작되고~ 우우우~ iPhone SDK beta 2(Interface builder가 포함된 버전)가 행사 전날 배포되 Interface builder를 제대로 사용해 보지 못한게 아쉬웠습니다. http://developer.apple.com/iphone/ 에 있는 샘플코드들 가져다 수정하는 걸로 만족해야했죠. :) 참고했던 자료들은 여기에 모아둡니다. http://kwangsub.springnote.com/pages/999696 보이는데로 추가할 생각입니다. 시간되면? iDaumShop도 마무리해보고요. XCode, 사용법만 익히면 참 펼리할것 같단 생각이 행사내 들더군요. 앞으로 Daum Dev Day를 분기별로 진행한다고 합니다. 관심있으신 분들, http://dna.daum.net 에 종종 들러 보아요. 상길님이 발로 찍어주신 사진ㅋㅋ @상길님/발로 찍으신거 치곤 잘나왔네요.

Daum Dev Day 2008

이미지
작년 에 이어 올해 에도 참석합니다. 운좋게 추첨 받았습니다. 덕분에 objective-c란것도 해보고 재미납니다. 이번에 참석해서는 iPhone App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잘해서가 아니라 "재미"있을거 같아서요.

대한민국 블로거 컨퍼런스

이미지
NHN과 Daum에서 대규모 블로거 행사를 주최한다. 최근 프로젝트에 바뻐서 신경을 못썼는데.. 이제 목요일이면 일이 마무리 되니. 끝나고 요거나 보러 가야겠다. 최근 비슷한 모임에 이런 저런 언쟁들이 오고가는걸 보고 블로거들의 존재감이 그전보다 크게 느껴졌다. 사람들이 생각하고, 만들어가는 블로그니, 꼭...사람같다... 사람.

웹 어노테이션 - 오픈마루 레몬펜, Google Note

이미지
한번 설치해야겠다. 해야겠다면서 미루고 있다가 오늘 아침, 응모당첨을 통해 레몬펜쿠션을 준다는 메일을 받고 바로 설치했다. ^^;; #. 오픈마루 레몬펜, Google Note 웹 서핑을 하다보면 보면 "이 페이지 정말 유용하네... 기억하고 있어야겠는데...알려줘야하는데.."라는 생각을 종종 한다. 내가 처음 컴퓨터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가 생각난다. 기억하고 싶은 페이지 혹은 교수님이 알려주는 사이트를 기억하려 할 때 , 메모장에 그 긴URL을 펜으로 따라 적고, 별표 다섯개와 함께 "이 페이지에서 시험 문제 60% 나옴!"이라고 적곤 했던게 기억난다. 워낙 악필이라 나중에 못알아 보면 대략 낭패!였지만...   오픈마루의 레몬펜[1] 은 웹 페이지에 바로 주석을 달고 저장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제공한다. 레몬펜을 애용해 쪽지와 태그를 달면 내 스크랩페이지로 저장 된다. (요즘 태그라고 하면 한 두 단어로 된 꼬리표정도로 얘기되는것 같다.) 이를 이용한다면 유용한 페이지의 즐겨찾기 역할을 하겠고, 포스팅 글의 의문점이 있으면 QnA게시판 역할을 하겠고, 알리고자 하는 것에 홍보 역할도 할 수 있을것이다.  나도 모르게 페이지에 달린 쪽지를 보면 호기심에 펼쳐보게 된다. 영양가 없는 글도 있지만 관심이 있어 하는 글은 쪽지를 추가하여 게시 글의 피드백을 받아 볼 수 도 있다. Google의 Note[2] 도 비슷한 기능을 제공한다. 크게 다른 점이 있다면 오픈마루 레몬펜은 사이트를 제공하는 사람이 레몬펜 스크립트를 추가해야 사용자가 쪽지를 달 수 있지만, Google Note는 사이트에 쪽지를 달고 싶어하는 사람이 Note확장버전[3] 을 이용하여 쪽지(주석)을 달 수 있다. Google은 이런 주석데이터, 검색로그데이터, 블로그의 정보등 모든 데이터를 모아모아 관리하고 있다. 나중에 내가 죽더라도 행적이 다 남아 있을까 무섭다. 이제 야시시한 사이트도 맘 놓고 못돌아다니겠네 :-) 오픈마루 레몬펜 처럼 서버사이드에서 이런 ...

시맨틱웹 쉽게? 알기

질문 : 당신이 컴퓨터 전공자도 아닌데 시맨틱웹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답 : 이 영상을 보세요. http://novaspivack.typepad.com/nova_spivacks_weblog/2008/01/a-nice-video-in.html

Semantic Web 팀블그에 참여합니다.

정지웅 님, 최희철 님과 함께 시맨틱웹 팀블로그(http://semantic.tistory.com) 를 열었습니다.  크지 않은, 넘치지 않는, 그런 Semantic한 뭔가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간의 부진을 반성하며 좋은 시점에서 시맨틱웹에 다시 한번 열정을 태워보렵니다. 

WTP에서 Axis2를 이용한 웹 서비스 구현

IBM DeveloperWorks 의 Developer CoD에 소개했던 "WTP에서 AXIS2를 이용한 웹 서비스 구현"을 소개한다고 하고 잊고 있었네요. WTP의 Axis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웹서비스를 구현해 보는 시나리오의 글입니다. 1부에서는 이클리스 WTP 사용, 웹서비스 소개, Axis2를 이용한 웹서비스 구현을 소개하고 있고, 2부에서는 이클립스 WTP를 이용하여 '상품 검색'이라는 간단한 시나리오를 웹서비스로 구현하는 예제를 담고 있습니다.   WTP에서 Axis2를 이용한 웹 서비스 구현 1부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dwcod/20071120/ 2부 -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dwcod/20080108/

Eclipse 플러그인 개발 - 3.2의 프로젝트를 3.3에서 실행할 때

이미지
이클립스 플러그인을 개발하다 3.2에서 3.3 옮기는 과정에서 문제되었던 걸 적어본다. 3.2에서는 잘되던 게 3.3에선 안되는 이유를 찾아 헤맸다. 진광형이 알아낸 방법 소개- 기존의 3.2에서 작업하던 프로젝트를 3.3으로 옮기고 Perspective를 나타나게 하는 에러만 뿜어냈다. 뭐야 detail error도 없고. 딸랑 Problems..? 왜 그런다~ .log파일을 봤더니 ClassNotFoundException ?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com.k4m.adk.internal.ui.ADKPlugin         at java.lang.ClassLoader.findClass(ClassLoader.java:413)         at 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316) ... ... 해결은 아래 처럼 plugin.xml 의 Classpath부분에 bin폴더를 add해주기만 하면된다. 왜 3.2버전에서는 이러지 않았는데도 되는건지! Preferences-Plugin development-Runtime Classpath 에 등록된 bin은 뭔지 모르겠다.

Firefox 3 beta - 사용기

이미지
Firefox3 베타를 사용하다 아직은 불안전한거 같아 2버전으로 다시 방금 내려왔다. 좋았던 점: 1. cmd + l 을 즐겨 사용하는데, 몇 글짜만 입력하면 나타나는 추천 리스트가 눈에 띄게 변했다. 기존의 2버전은 앞글자와 매칭되는 URL 리스트를 보여줬는데, 3버전은 중간의 단어만 입력해도 페이지 타이틀과 URL을 정리해서 보여준다. 것도 큼지막하게. 딱 맘에 들었음. 2. cmd + q를 눌러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2버전에서는 그냥 여러 탭을 닫느냐는 경고 메세지만 보였는데 3버전에서는 열려있던 탭정보를 저장할까냐고 물어본다.  오만개의 탭을 열어놓는 나에겐 아주 좋은 기능이다. 3. 텍스트 큐브에서 태그들 달때, 마지막 한 글자가 다음 텍스트 필드에 나타났는데, 설마 했는데 지금 2버전에서 태그를 달아보니 또 한글짜가 나오네요. 3버전에선 안 그랬는데. 안좋았던 점 , 다시 내려온 이유: 1. 무엇보다도 부하가 걸린다 싶으면 강제종료되어 버린다. 아직 베타니까.. 2. 자주 사용하는 extension들이 아직 호환되지 않는다. 제일 자주 사용하는 firebug [1] 는 어찌 어찌 해볼려고 구해서 사용했는 colorzilla [2] 나 webdevelopment는 안보인다. delicious [3] 도 그렇고, 아직 베타니까...ㅋㅋ 이상하다 분위기. 3. 다운로드 관리자 창에서 왜 "모두 비우기"차이 없어진거지? 요거 불편. 뭐, 한 2~3주 써봤는데 좋다. 베타 딱찌 때면 바로 환승해야겠 음.

Google Picasaweb + Google Map Mashup

이미지
전 웹 사진 관리 툴로 피카사웹을 자주 사용합니다. 오늘 훈련소가기 위해 깎은 머리를 올리다, Google Map [1] 과 매쉬업된 모습을 봤어요. 왼쪽 앨범내의 사진을 크릭하고 지도를 클릭하거나, 드래그를 하면, 어디에서 찍은 사진인지 알 수 있게 제공하네요, 지리산 노고단 능선(위치)에서 일출이 시작된 모습(사진)입니다. 한개의 사진을 클릭해서 자세히 보면 오른쪽에 Google Map에 마크가 생긴것을 볼수 있습니다. Map정보를 보여주는 것인데 아직 한국의 google map정보가 완벽하지 않아 Map정보가 보이지 않네요. 지도 아래 "앨범지도보기"를 클릭해서 "Satellite"으로 표시하면 산의 위성사진이 나옵니다. 더 재미있는건, Map정보가 있는 사진을 보면 상단에 "앨범 지도 보기" [2] 로 들어가 상단에 "Google Earth에서 보기"를 클릭을 하면 Google Earth [3] 가 실행되어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와우 요새 모든 사진은 iPhoto에서 관리하고, 사진 중에 웹에 올리고 싶은 사진이 있을때, Picasa Web Albums Uploader [4] 을 이용하는데 아주 편리하네요. [1] http://maps.google.com/ [2] http://picasaweb.google.com/kwangsub.kim/2007/photo#map [3] http://earth.google.com/ [4] http://picasa.google.com/web/mac_tools.html

[후기] KISTI 기술 발표회

이미지
오늘 KIST기술발표회에 다녀왔습니다. 언제나 그러하듯 발표회 초반은 딱딱하더군요. ^^ 소개인사가 지나고 각 세부별로 올해 진행한 과제결과를 설명해주셨습니다. 데부분인 소개다음 데모를 중심을 진행되었고요. # KISTI의 데모를 진행하기에 앞서 IBM에서 자사에서 생각하고 있는 시맨틱 검색에 대해 애기해주셨습니다. CAS(Common Analysis Structure, 언듯 들으면 맥주이름 같기도 한데요.^^)와 UIMA라는 플랫폼이 시맨틱검색을 가능케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UIMA는 버전2.0부터는 IBM을 떠나 Apahce의 오픈소스화 [1] 되었다고 합니다. 데모는 없었고요, 실제 사용하고 있는 레퍼런스 사이트를 알려달라는 어느분의 요청에 그분에게만 개인적으로 알려준다고 하시던데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ㅋ # 다음은 Star검색 [2] 의 설명과 데모가 있었습니다. 2007년 2월부터 작업을 시작했다고 하는데 발표하시는 발표자님의 목소리에 자신감이 팍팍 넘쳤습니다. 화려한 UI를 보고 Web2.0을 얘기하는 몇몇 사람들에게 "우리는 Web40.0정도로 만들었다"라며 재치를 보여주셨습니다. [2] 페이지에 들어가시면 3가지 버전을 보실 수 있습니다. 0.9버전은 계정이 필요하더군요. 그걸 제외하면 크게 플래시 버전과 HTML버전이 나옵니다. 발표자님 말에 따르면 플래시 버전은 20~30대를 위한 다이나믹한 웹40.0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기능은 HTML버전과 동일합니다. 다만 플래시로 화려한 UI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다음 HTML버전입니다. 포탈의 이미지를 벗고 사용자가 원하는 것만 보여주는걸 목적으로 한다고 합니다. "세포"를 입력하면 하위어, 우측절단어, 좌측절단어를 제시해줍니다. (어제 데모에서는 빈도수도 나왔던거 같은데 오늘은 안나오네요.)[IE에서만 됩니다. 파이어폭스는 지원을 안하네요] 하위어와 관련어들에 대한 반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해서 발표후에 따로 만나서 몇마디 나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