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KISTI인 게시물 표시

[후기] KISTI 기술 발표회

이미지
오늘 KIST기술발표회에 다녀왔습니다. 언제나 그러하듯 발표회 초반은 딱딱하더군요. ^^ 소개인사가 지나고 각 세부별로 올해 진행한 과제결과를 설명해주셨습니다. 데부분인 소개다음 데모를 중심을 진행되었고요. # KISTI의 데모를 진행하기에 앞서 IBM에서 자사에서 생각하고 있는 시맨틱 검색에 대해 애기해주셨습니다. CAS(Common Analysis Structure, 언듯 들으면 맥주이름 같기도 한데요.^^)와 UIMA라는 플랫폼이 시맨틱검색을 가능케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UIMA는 버전2.0부터는 IBM을 떠나 Apahce의 오픈소스화 [1] 되었다고 합니다. 데모는 없었고요, 실제 사용하고 있는 레퍼런스 사이트를 알려달라는 어느분의 요청에 그분에게만 개인적으로 알려준다고 하시던데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ㅋ # 다음은 Star검색 [2] 의 설명과 데모가 있었습니다. 2007년 2월부터 작업을 시작했다고 하는데 발표하시는 발표자님의 목소리에 자신감이 팍팍 넘쳤습니다. 화려한 UI를 보고 Web2.0을 얘기하는 몇몇 사람들에게 "우리는 Web40.0정도로 만들었다"라며 재치를 보여주셨습니다. [2] 페이지에 들어가시면 3가지 버전을 보실 수 있습니다. 0.9버전은 계정이 필요하더군요. 그걸 제외하면 크게 플래시 버전과 HTML버전이 나옵니다. 발표자님 말에 따르면 플래시 버전은 20~30대를 위한 다이나믹한 웹40.0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기능은 HTML버전과 동일합니다. 다만 플래시로 화려한 UI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다음 HTML버전입니다. 포탈의 이미지를 벗고 사용자가 원하는 것만 보여주는걸 목적으로 한다고 합니다. "세포"를 입력하면 하위어, 우측절단어, 좌측절단어를 제시해줍니다. (어제 데모에서는 빈도수도 나왔던거 같은데 오늘은 안나오네요.)[IE에서만 됩니다. 파이어폭스는 지원을 안하네요] 하위어와 관련어들에 대한 반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해서 발표후에 따로 만나서 몇마디 나누...

KISTI 기술 발표회

이미지
차세대 웹 전망세미나 에서 발표했던 KISTI의 기술 발표회가 있습니다. 링크를 안넣었네요. http://star.kisti.re.kr/rec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