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요일 시맨틱웹세미나가 있었지요. 최근 시맨틱웹관련 이슈도, 행사도 거의 없던터라 부담 백배에 세미나를 준비했습니다. 모자란 지식에 어떻게 이야기를 만들어 낼지 고민에 고민을 했었지요. 무사히 행사를 마쳤고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발표를 마련해주신 분들께 감사하고, 오셔서 들어주신 분들께도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벌써 후기가 많이 올라왔는데 전 늦은 후기가 되겠네요. 시맨틱웹이라는 큰 주제로 시작된 이번 세미나는 "Semantic Web & Data Link" 라는 소주제로 이야기를 펼쳐냈습니다. 김홍기 교수님께서는 "시맨틱웹과 링크의 진화"라는 주제로 시맨틱웹, 링크가 무엇인지 언급하시고, 그 중 링크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발표자료가 약하다고 걱정하시더니 정말 멋지게 발표를 해주시더군요. :-) 두번째는 제가 "데이터를 웹으로"라는 주제로 웹에서의 데이터가 무엇이고 기존의 링크와 앞으로의 링크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어찌보면 소소한 문제인것 같으면서도 기초가 주제가 아니였나 생각됩니다. 발표를 들으셨던 분들은 제가 백만번 강조한 "라인"을 기억하셨을텐데요. 제 발표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시맨틱웹의 비전인 "Person or Machine can explore the web of data" 이 가능하기 위해선 "RDF, URI, HTTP" 이 필요하다.
(아니 이걸가지고 1시간을 발표하다니...^^;;) 제 발표자료를 첨부합니다. 오셨던 분들은 다이나믹한 발표의 기억을;;...퍽@=
다음으로는 오픈마루의 정지웅님께서 "우리곁의 데이터웹" 이란 주제로 이야기해주셨습니다. 데이터웹에서 오픈 소셜, 리믹스웹까지 시맨틱웹으로 가는 길목요소들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해 이야기하셨습니다. 발표 시작 슬라이드 장수를 맞추는 사람에게 상품을 준다고 했었는데 정말 맞추신 분이 계시더군요...
참고 : http://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media/MediaPlayer.html TF에서 MediaPlayer를 Override할 일이 생겨 테스트하는데 Play/Stop을 하면 연신 IllegalStateException를 일으킨다. MediaPlayer문서를 보니 답이 있다. 잊기전에 주요한 내용들 정리해보자. 아래 State Diagram는 MediaPlayer가 사용자 액션을 받아 취해지는 상태(State)를 의미 객체가 생성되면 Idle상태에서 사용자 이벤트(메소드호출)에 따라 상태가 변함, (편의를 위해 만든 create는 Initialized상태로 됨.) 촉이 한개인 화살표는 Sync, 쌍촉? 화살표는 Async로 이벤트가 처리되는 것을 의미 [중요] 상태(State)흐름이 Stopped가 되면 그 상태에서 Paused, Started, PlaybackCompleted로 이동하지 못한다. 즉, stop()메소드가 불러지면 start(), seekTo(), pause() 메소드를 다시 부를 수 없다는 의미이다. 내가 혼돈했던것이 이부분이다. 보통 Start/Stop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나? 그건 내생각이고 그 원하는 바로 되려면 Start/Pause이다. Stop된 객체를 다시 Start하고 싶으면 Prepare()해야한다. 이렇게 State이동을 잘못하면 IllegalStateException이 발생한다. MediaPlayer를 이용한 작업을 마치면 반드시 release()를 해서 리소스 반환 MediaPlayer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 create()와 new, create()를 사용하면 바로 Initialized상태로 진입, new를 사용하면 Idle상태로 진입. 당연한것이 create()를 할때 datasource를 넣어 객체를 한다.
댓글
댓글 쓰기